전라남도는 지난 2년 연속 거둔 국고 9조원 확보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신규사업을 비롯해 대규모 계속사업, 예타 대상사업, 공모사업 등 주요 현안사업에 대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연초부터 실국별 신규사업 발굴 전략회의를 수차례 열고 사업의 필요성, 당위성, 부처 동향 등을 살피며 완성도를 높이는데 주력했습니다.
오는 5월까지 소관 중앙부처를 방문해 신규사업을 적극 건의하는 한편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해 현안사업에 공동 대응하고 6~8월 기획재정부에 사업 당위성을 중점 설명한 뒤 9~11월 정부 예산안에 미반영된 사업 확보를 위해 국회 대응 활동을 전방위로 펼칠 방침입니다.
전라남도는 13일 김영록 지사가 주재한 가운데 '2026년 국고건의 신규사업 보고회'를 가졌다. 전라남도는 내년에 국비 3천197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9조7천217억 원 규모의 신규사업 120건을 발굴하고 본격적인 국고 확보 활동에 들어갔다.<사진제공=전라남도>
새로 발굴한 주요 신규사업을 분야별로 보면 최첨단 전략산업의 허브 도약 분야는 ▲사용 후 배터리 직접재활용 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20억 원(총 200억원) ▲차세대 융합 면역치료 원천기술 개발 63억원(총 450억원) ▲대용량 이산화탄소(CO2) 액화 및 적하역 기술개발 60억원(총 370억원) ▲도심항공교통(UAM) 시뮬레이터 활용을 통한 파일럿 양성센터 구축 21억원(총 450억원) 등입니다.
또, 글로벌 에너지 대전환 선도 분야는 ▲출력제한 해소용 압축공기저장장치 기술개발 56억원(총 400억원) ▲해상풍력용 부품(피치·요베어링) 시험센터 구축 90억원(총 400억원)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 100억 원(총 1조2천억원) ▲해상풍력 유지보수 기지 구축 타당성 연구 7억원(총 200억원) 등입니다.
농수축산업 생명사업 분야는 ▲첨단 농작업 대행센터 운영 지원 200억원(총 400억원) ▲소규모 한우농가 사료비 인상 차액 지원 180억원(총 720억원) ▲국립 김 산업 진흥원 타당성 연구용역 2억원 ▲간척지 활용스마트 수산양식 단지 조성 8억원(총 200억원) ▲해양수산 기후변화 대응센터 건립 10억원(총 1천200억원)입니다.
SOC 확충 분야는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예타통과 및 30억원(총 1조9천326억 원) ▲광주~나주 광역철도 건설 예타통과 및 30억원(총 1조5천192억원)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 예타통과 및 20억원(총 5천142억원) ▲무안·여수공항 시설개선 예타선정 및 100억원(총 1천960억원)입니다.
이 밖에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중인 사업은 ▲광양 공업용수도 사업(총 3천23억원) ▲화순탄광 경제진흥원사업 추진(총 5천643억원) ▲국립 해양수산박물관 건립(총 1천441억원)이 포함됐고 예타 신청예정인 사업은 ▲여자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총 2천155억원) ▲여수광양 수소배관망 구축(총 1천500억원) ▲우주발사체 사이언스 콤플렉스 조성(총 2천900억원) ▲광양항~율촌산단 연결도로 개설(총 3천456억원) 등 입니다.
김 지사는 “2026년이면 대규모 SOC 사업 가운데 광주~완도 1단계 고속도로 공사가 완료되고 2027년 국도 77호선(압해~화원, 화태~백야) 공사도 마무리된다”며 “대형 SOC 대처사업 발굴과 함께 현재 조사 중인 예타 대상사업의 조기 통과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또, “국고건의 사업 외에도 지방이양 전환사업 영구보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자체분 한도 상향 등 제도개선 활동에도 적극 임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습니다.